Overseas Certification
해외인증
UKCA 인증

UKCA(UK Conformity Assessed) 인증은 영국의 EU 탈퇴이후 영국시장(잉글랜드, 웨일스 및 스코틀랜드)에 새롭게 도입된 인증제도 입니다.
2016년 6월 열린 영국 국민투표 결과 51.9%의 찬성으로 2020년 1월31일 공식적으로 영국이 유럽 연합 탈퇴하여 EU경제연합에서 분리되었으며, 그 의미로 영국과(Britain)과 탈퇴 (Exit)를 합쳐서 만든 합성어 브렉시트(Brexit)로 인해 기존 EU 전지역에서 인정되던 CE인증은 2024년 12월31일까지 연장 되었으며 이후에는 UKCA인증을 반드시 획득해야 영국시장에서의 유통이 가능합니다.
UKCA 마킹제도는 GB(Great Britain), 즉 잉글랜드, 웨일즈, 스코틀랜드에만 적용되며, 북아일랜드의 경우 Northern Ireland Protocol에 따라 별도 UKNI 제도가 적용됩니다.
▶︎ UKCA 인증 종류 (CE인증과 동일합니다.)
- 에어로졸 디스펜서 규정 2009
- 전기 장비 (안전) 규정 2016
- 전자파 호환성 규정 2016
- 폭발물 규정 2014
- 폭발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비 및 보호 시스템 규정 2016
- 리프트 규정 2016
- 측정 용기 병(EEC 요구 사항) 규정 1977
- 측정 기기 규정 2016
- 실외 사용 장비에 의한 환경 소음 방출 규정 2001
- 비자동 계량 기기 규정 2016
- 불꽃 제품 (안전) 규정 2015
- 무선 장비 규정 2017
- 레크리에이션 선박 규정 2017
- 규정(EU) 2016/425 및 개인 보호 장비(시행) 규정 2018
- 단순 압력 용기 (안전) 규정 2016
- 기계류 공급 (안전) 규정 2008
- 압력 장비 (안전) 규정 2016
- 전기 및 전자 장비 규정 2012에서 특정 유해 물질의 사용 제한
- 장난감 (안전) 규정 2011
의료 기기, 건설 제품, 케이블 선로, 운송 가능한 압력 장비, 무인 항공기 시스템, 철도 제품 및 해양 장비에 대한 다양한 규칙이 있습니다.
▶︎ 구비서류 (UKCA인증 규정 종류에 따라 상이함)
– 제품에 대한 일반적 설명
– 제품에 적용되는 건강 및 안전 – 기준과 이에 대한 조치 및 평가 결과
– 제품 설계도
– 제품의 필수 부분과 관련된 세부 설계도
– 수행된 모든 검사 결과 보고서
– 제품 인증서 및 관련 테스트 보고서
– 사용설명서
– 대량 제품의 경우 품질 유지를 위한 조치 보고서
▶︎ 인증절차
영국뿐 아니라 유럽으로 함께 수출하는 경우, CE를 별도 유럽 내 NB로 별도 신청하여 인증획득해야 하며, 북아일랜드 지역 수출의 경우에는 UKCA획득 시, UKNI도 함께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