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ystem CERTIFICATION
시스템인증
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(QMS : Quality Management System) 인증

제품 및 서비스에 이르는 전 생산 과정에 걸친 품질보증 체계를 의미합니다. 즉, 제품 및 서비스 자체에 대한 품질인증이 아니라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을 평가하여 인증하는 것입니다.
공급자 측이 제3자 인증기관의 객관적ㆍ독립적인 평가를 통해 인증받음으로써 구매자와 조직에게 신뢰감을 제공하게 됩니다. 인증기업은 업무 절차를 매뉴얼에 따라 문서화하고 실행하여야 합니다.
이 제도는 제2차 대전 후 미군의 조달부서가 군수품의 불량을 줄이기 위해 제품의 생산시스템에 대한 관리 사항을 미군 규격으로 적용한 것이 시초가 되었습니다. 이후 국가 간 품질시스템의 요구 사항이 각기 달라 국제적인 공통 품질경영시스템 규격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자 ISO(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가 미국, 영국, 캐나다의 국가규격을 근거로 ISO 9000시리즈 규격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. 이후 순차적인 개정을 해 오다 2000년에는 제품의 정의를 서비스업 등으로 확대하고, 종합적 품질관리에 PDCA(Plan=계획, Do=실행, Check=평가, Act-개선) 요소를 도입, 조직 활동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행하였습니다. 이후 2008년에 개정 작업이 완료돼 ISO 9001 : 2008 심사기준이 적용되다가, 2015년 경영시스템표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HLS(High Level Structure)를 적용한 ISO 9001 2015년판이 발행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.
또한, 대부분의 제품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선 제품생산 및 공급의 품질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인증기관서 품질생산체계를 확인하고 있는데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이 기준이 되며, 각 인증 종류에 따라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따라야 합니다.
▶︎ 인증제도 국가체계
▶︎ ISO 9001 인증의 효과
- 기업 이미지 제고로 매출증대 및 수출장벽 극복
– 글로벌화된 시장에서 대부분의 거래처가 ISO 9001인증을 거래의 전제로 요구 - 기업내 외부 신뢰성 증대
– 업무 체계가 정비되어 공신력이 높아지고 직원들의 자부심이 고취됨 - 품질혁신과 기술개발의 기반
– 철저한 문서화와 기록관리를 통한 개개인 노하우와 정보의 자료화, 기업의 노하우 축적(기업 지식자산 축적) - 책임과 권한의 명확화
- 체계화된 사원 교육 프로그램의 확보 가능
- 중복업무, 누락업무의 발굴 및 조정
- 개별고객으로 부터의 중복심사 배제
- 제조물 책임 제도에 대한 최적의 대응책
- 예방활동의 극대화로 실패율 감소 이익증대
▶︎ 구비서류
– 품질경영 매뉴얼
– 품질경영 절차서
– 품질경영 지침서
– 각종 표준문서 등
▶︎ 인증 절차